메이져 스케일(Major Scale)
음악 이론을 배울때 맨처음 배우게 되는 스케일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앞에 설명했던 음정 에서도 C Major Scale 을 기준으로 설명했고 학교에서 맨처음 배우는 이론도 다장조 음계(C Major Scale) 에 대해서 배웁니다.
그럼 이러한 메이져 스케일이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사람의 귀는 2개의 음의 진동수가 간단한 비례일때 기분좋은 느낌을 같는 협화로, 반대로 진동수의 비례가 복잡하면 불협화로 느낍니다.
튜닝의 기본음 진동수 A(라)=440Hz 라는 것은 1초동안에 440번 진동하는 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같은 A=440Hz 의 음을 충돌시키면 진동수의 비례는 1:1 음정으로 말하면 전시간에 배웠던 유니즌 음정이 되겠습니다.
표로 나타내보면
진동수의 비례 |
음정 |
1:1 440Hz : 440Hz |
완전1도(유니즌) |
1:2 440Hz : 880Hz |
완전8도(옥타브) |
2:3 440Hz : 660Hz |
완전5도 |
3:4 440Hz : 약586.6Hz |
완전4도 |
4:5 440Hz : 550Hz |
장3도 |
5:6 440Hz : 528Hz |
단3도 |
3:5 440Hz : 733Hz |
장6도 |
5:8 440Hz : 704Hz |
단6도 |
이것을 기준으로 C 음을 기준으로 배열하면
C E F G A 음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부족한 B D 음은 G 음기준으로 장3도 완전5도의 음을 추가해 우리가 알고있는
C Major Scale 이 만들어 집니다.
완전히 수학적으로 음들이 설명이 되지만 사실상 메이져 스케일은 인간이 듣기에 기분 좋은 음을 배열한 것입니다.
또한 오선은 C Major Scale 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선 이므로 C Major Scale 을 기본으로
메이져 스케일의 배열
루트로 부터의 거리
두가지 방법으로 메이져 스케일을 익혀두도록 합시다.
C Major Scale 을 기초로 다른 키의 Major Scale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메이져 스케일의 배열은 루트로 부터 온음 + 온음 + 반음 + 온음 + 온음 + 반음 으로 이루어 졌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것을 기초로 F Major Scale 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F 음을 루트로 G A B C D E 의 구성음을 가집니다.
하지만 음의 배열이 F - G(온음) G - A(온음) A - B(온음) B - C(반음) C - D(온음) D - E(온음) E - F(반음) 으로 메이져 스케일의 배열과 맞지 않습니다. 이럴경우 임시표를 사용하여 메이져 스케일의 배열을 만들어 줍니다.
B 음을 플렛시켜 메이져 스케일의 배열에 맞도록 합니다.
. .
임시표는 높은 음자리표 옆에 표기하여 조성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메이져 스케일을 찾아 보겠습니다.
'화성학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화성학] 6강 다이어토닉 코드(Diatonic Chord) (11) | 2014.08.09 |
---|---|
[기초 화성학 배우기] 5강 5도권(Circle of fifth) (6) | 2013.12.23 |
[기초 화성학] 4강 코드(chord)의 종류와 표기법/음표,박자,리듬,템포의 기본 (8) | 2013.02.01 |
[기초 화성학] 2강 인터벌(Interval/음정)2/음정 쉽게 찾기 (2) | 2013.01.18 |
[기초 화성학] 1강 인터벌(Interval/음정)1 (20) | 201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