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이름의 나라별 표기
한국 |
다 |
라 |
마 |
바 |
사 |
가 |
나 |
이탈리아 |
도 |
레 |
미 |
파 |
솔 |
라 |
시 |
미국.영국 |
C |
D |
E |
F |
G |
A |
B |
제일 많이 쓰게되는 표기는 미.영국식이 되겠습니다.
싱글노트(단음) 이란
우리가 알고있는 도,레,미...(C,D,E....) 입니다.
인터벌(Interval/음정)
인터벌은 두음사이의 거리를 뜻합니다.
화성학은 인터벌을 기본으로 설명되니 음정에 관해서는 반드시 이해할수 있도록 합시다.
반음(Halftone) 과 온음(Wholetone)
반음은 피아노 건반에서 한칸거리의 음정 입니다.
그림에서 C 와 C# 의 거리가 반음 입니다.
중간에 E 와 F , B 와 C 의 거리도 건반 한칸의 거리, 반음 입니다.
우리가 듣는 대부분의 음악은 이 12개의 음으로 만들어 집니다.
온음은 피아노 건반에서 두칸거리의 음정 입니다.
그림에서 C 와 D 처럼 두칸거리의 음정의 간격을 온음이라 합니다.
온음은 반음+반음의 간격이 됩니다.
우리가 잘 알고있는 C major scale(다장조 음계)은
E 음과 F 음, B 음과 C 음은 반음간격으로 나머지 음들은 온음 간격으로 되어 있습니다.
기타도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프렛 한칸이 반음 두칸의 온음의 간격입니다.
기타에서 C Major Scale 을 찾아보면
12프렛에서 1옥타브가 올라갑니다.
임시표의 종류
#(샾): 해당 음을 반음 올린다
♭(플렛): 해당 음을 반음 내린다
##(더블샾): 해당 음을 온음 올린다
♭♭(더블플렛): 해당음을 온음 내린다
♮(제자리표): 올리거나 내린음을 원래대로 돌린다
기타에서 F#을 찾아 보겠습니다.
기타 프렛한칸이 반음의 거리이므로 F에서 바디쪽으로 한칸 옮깁니다.
기타에서 Gb을 찾아 보겠습니다.
#과는 반대로 반음을 내리면 헤드쪽으로 한칸 내려갑니다.
결국 이 두개의 음은 이름만 다를뿐 서로 같은 음 입니다.
이러한 음을 이명동음 이라 합니다.
인터벌의 구분
인터벌은 오선보에서 기준음으로 부터 두 음 사이의 거리를 세어 도수로 표현합니다.
위악보를 보시면 C 와 C 는 1도, C 와 D 는 2도, C 와 E 는 3도, C 와 D 는 4도 의 도수로 표현합니다.
시작음과 끝음 사이의 음을 포함하여 도수를 표현합니다.
주의: 중간에 같은 이름을 가지고 있는 # 이나 b 은 도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C 와 E 까지의 음정을 셀때 C , C#, D, D#, E 이렇게 5개의 음이 있지만
중간에 C 와 C# 이나 D 와 D# 과 같이 같은 계이름에 임시표가 붙었을 경우에는 1도로 생각합니다.
즉 같은 계이름 끼리는 1도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C 부터 C , D , E 세개의 계이름으로 C 와 E 의 도수는 3도 입니다.
같은 도수를 가지고 있는 음정이라도 그 사이의 반음의 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위처럼 모두 같은 3도의 인터벌을 가지고 있지만 C 와 E 음 사이에는 반음이 4개 이지만 D 와 F 음 사이에는 반음이 3개 입니다. C와 E 음이 D 와 F 의 인터벌보다 반음이 더 넓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음정을 서로 다르게 구분해서 부릅니다.
2, 3, 6, 7 도는 장(Major), 단(Minor)으로 구분해서 부르고
1, 4, 5, 8 도는 완전(perfect)을 붙여 부릅니다.
또한 장음정과 완전음정 모두 반음만큼 더 넓어지면 증(Augmented)음정으로
반대로 반음만큼 좁아지면 감(Diminished)음정으로 변합니다.
음에 임시표가 붙었을 경우
두음중 높은 음에 # 이 붙거나 낮은음에 b 이 붙으면 두 음사이의 거리는 반음만큼 넓어지고,
반대로 높은 음에 b 이 붙거나 낮은음에 # 이 붙으면 두 음사이의 거리는 반음만큼 좁아집니다.
이것을 표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장3도의 음정이 있을때 두 음중에 임시표가 붙어서 반음이 넓어지면 증3도라 부르고
반대로 좁아지면 단3도라 부릅니다.
또한 감음정보다 반음 더 좁아지면 겹감음정, 증음정보다 더 넓어지면 겹증음정이라 부릅니다.
. .
1도부터 인터벌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
1도
완전1도 : 같은음(Unison)
증1도 : 완전1도보다 반음 넓어짐
2도
장2도 : 온음
단2도 : 반음
증2도 : 장2도에서 반음 넓어짐(단3도와 같다)
감2도 : 단2도에서 반음 좁아짐(완전1도와 같다)
3도
장3도 : 온음 2개(Major 3rd)
단3도 : 온음 1개 + 반음 1개(Minor 3rd)
증3도 : 장3도에서 반음 넓어짐(완전4도와 같다)
감3도 : 단3도에서 반음 좁아짐(장2도와 같다)
4도
완전4도 : 온음 2개 + 반음 1개(Perfect 4th)
증4도 : 완전4도에서 반음 넓어짐(감5도와 같다), 온음 3개(Tritone)
감4도 : 완전4도에서 반음 좁아짐(장3도와 같다)
5도
완전5도 : 온음3개 + 반음1개
증5도 : 완전5도에서 반음 넓어짐(단6도와 같다)
감5도 : 완전5도에서 반음 좁아짐(증4도와 같다)
6도
장6도 : 온음4개 + 반음1개
단6도 : 온음3개 + 반음2개
증6도 : 장6도에서 반음 넓어짐(단7도와 같다)
감6도 : 단6도에서 반음 좁아짐(완전5도와 같다)
7도
장7도 : 온음5개 + 반음1개
단7도 : 온음4개 + 반음2개
증7도 : 장7도에서 반음 넓어짐(옥타브와 같다)
감7도 : 단7도에서 반음 좁아짐(장6도와 같다)
8도 - 보통 옥타브(Octave)라 부릅니다.
완전8도 : 온음5개 + 반음2개
증8도 : 옥타브에서 반음 넓어짐(옥타브 + 단2도)
감8도 : 옥타브에서 반음 좁아짐(장7도와 같다)
스크롤이 너무 길어지는거 같아 두개의 강의로 나누겠습니다.
'화성학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화성학] 6강 다이어토닉 코드(Diatonic Chord) (11) | 2014.08.09 |
---|---|
[기초 화성학 배우기] 5강 5도권(Circle of fifth) (6) | 2013.12.23 |
[기초 화성학] 4강 코드(chord)의 종류와 표기법/음표,박자,리듬,템포의 기본 (8) | 2013.02.01 |
[기초 화성학] 3강 메이져 스케일(Major Scale)이란 (14) | 2013.01.22 |
[기초 화성학] 2강 인터벌(Interval/음정)2/음정 쉽게 찾기 (2) | 2013.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