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코드(바레코드,바코드)란
우리가 흔히 하이코드라 부르는 코드의 정식 명칭은 바레코드 입니다
bar: 막대 에서 나온 용어이고 검지 손가락을 막대처럼 펴서 누르는 코드라고 해서 바레코드라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처음에 배우게 되는 바레코드는 F 코드 입니다. 이 코드를 배우는 단계에서 초보기타 여러분들이 기타를 제일 많이 포기 하게만드는 코드 이기도 합니다.
일단 코드 모양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집게손가락이 모든줄을 누르고 있습니다.
바레코드를 잡을때는 엄지 손가락이 넥의 중간에 오도록 합니다.
역시 연주해 보면 제대로 소리를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단 연습은 약식폼으로 연습합시다.
집게 손가락으로 1, 2 번줄 두개를 누릅니다.
6번줄을 누르지 않기 때문에 스트로크 할때는 6번줄은 치지 않습니다.
이 폼으로 익숙하게 연습이 되면 위에 풀코드 모양으로 연습하시면 되겠습니다.
일단은 모양으로 외우자
코드가 만들어 지는 원리는 후에 기초 이론과 함께 자세히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코드 진행은
C G / Dm7 / C G / F
Dm7 코드는
F와 비슷한 코드 입니다.
집게 손가락으로 1,2 번줄을 눌러 줍니다.
이정도를 목표로 연습해 봅시다
아래의 공감버튼을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통기타 배우기-기초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기타 기초배우기] 11강 하이코드(바레코드,바코드) #2&CAGED 시스템 (20) | 2012.12.14 |
---|---|
[통기타 기초배우기]10강 기초화성학,코드기초이론 (4) | 2012.12.13 |
[통기타 기초배우기]9강 하이코드(바레코드,바코드) #1 (4) | 2012.12.06 |
[통기타 기초배우기]8강-슬로우락,셔플,스윙 리듬 (2) | 2012.12.01 |
[통기타 기초배우기]7강-반복,이동 기호 (0) | 2012.11.30 |
[통기타 기초배우기]6강-16비트 리듬#2 (2) | 2012.11.29 |
이전 강의들은 그래도 할만 했는데.. 바레코드 정말 어렵네요..ㅠㅠ;;
바레코드는 반복해서 계속 잡아 보셔야 되요
아직 필요한 근육이 발달이 안되신거니 꾸준히 반복연습 하세요~
선생님 인터넷으로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무대에 공연을 무리없이 할 정도로
다루려면 어느정도까지 칠 수 있어야하나요?
너무 뜬 구름 잡는 말이라서 답하기 힘드시겠지만
선생님이 생각 하시는 공연에 적합한 수준은 어느정도인가요?
통기타 다음으로 일렉기타도 배우고 싶습니다
지금 겨우 9강 통기타 보고있는 실정이지만 명확한
목표가 있으면 더 힘이 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곡에 따라 시간이 달라질거라고 생각됩니다. 파워코드와 뮤트정도 까지 익혀도 연주할 수 있는 곡이 있는 반면 솔로 라인이 들어간 곡은 더 오래걸릴겁니다. 악기 연습은 3개월 이상 꾸준하게 하시는걸 추천드리고 제 블로그에 제시된 연습과제를 익히면서 원하는 곡의 악보를 구하셔서 병행연습해도 좋을거 같네요.